pytorch에서 주는 곤충 이미지를 분류하는 작업을 해보려고 한다. 벌과 개미 이미지가 있는데, 각각의 이미지를 잠깐 살펴보면    은 말그대로, 합성곱 연산을 사용하는 인공신경망의 한 종류다. Convolution을 활용하면 3차원 데이터의 공간적 정보를 유지한 상태로 다음 레이어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. CN N역시 입력층, 중간층, 출력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은 다시 노드로 이루어져 ...
다층 퍼셉트론 마지막 예제로 이상 날씨 탐지를 진행해보자. 2011년 1월 1일 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서울시의 일 평균 기온데이터를 활용해 본다. [여기](https://data.kma.go.kr/stcs/grnd/grndTaList.do?pgmNo=70)에서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. 에서 받을 수 있다. 과거 뉴스 데이터를 다운로드해서, 어떤 카테코리인지 분류하는 학습을 진행해보자. 먼저 구글드라이브에 해당 파일을 업로드해서 진행했다. 물론 아래와 같은 코드로 cola...